준비, 고민, 스트레스 없이. 아무런 생각없이 가는게 이 여행의 컨셉이였는데 사람마음이란게 ㅋㅋ 이왕 준비하는거 싸게 사고싶고 가격대비 성능이 좋았으면 좋겠고 멋있으면 좋겠는지라 그게 잘 안지켜지는 듯 하다.

배낭은 배낭여행자들의 필수요소급인 등산용 배낭과 몰리 시스템이라고 해서 여러모로 확장성이 좋고 내구성도 어느정도 검증된(?) 택티컬 배낭을 생각하고 있었다.

사실 한달전쯤에 한번 주문했던 배낭이 있었다. 컴뱃샵이라고 하는 곳에서 구입한 55L급 산악배낭이었는데 생각과는 많이 다른 상품에 많이 실망을 해가지고(특히 가장 불편했던 2가지가 있었는데.. 조절이 불가한 S사이즈의 토르소.. 그러니깐 허리벨트를 매면 가슴밸트가 아무리 밑으로 조절을 해도 목에 걸린다거나.. 가슴밸트를 제대로 매면 허리벨트가 골반이 아닌 진짜 허리에 위치한다던가.. 그리고 어깨끈의 쿠션길이가 짧아서 겨드랑이쪽에 많이 쓸렸었었다.) 반품을 시켰었다.

이러한 훌륭한 전 선례가 배낭을 찾는데 많이 도움이 된거 같았다. 토르소조절기능과 프레임의 유무 그리고 충분한 쿠션감과 착용할때의 편안함을 가장 우선시해야한다는걸 직접 몸으로 겪어봤다랄까? ㅋㅋ

아무리 그래도 자기 몸값을 할만한 배낭을 매어야겠다는 마음으로 뽐뿌나 기타 등산, 캠핑 커뮤니티 등지에서 배낭을 구입하기전 고려사항에 대해서 찾아보았는데..

1. 도이터, 바우데, 그레고리, 오스프리를 가장 많이 추천하였고 그 외 솔트렉, 팀버라인등을 추천
2. 배낭 내외부의 원단 종류, 제조국가 및 제조회사
3. 원단의 이색유무
4. 방수기능 및 배낭커버
5. 지퍼 및 버클상태
6. 이중박음질처리 및 AS유무
7. 지퍼 자물쇠 고리
8. 허리, 가슴벨트
9. 패드등이 에어매쉬 처리가 되어있는가?
10. 쉽게 꺼낼수 있게 어느곳이든 지퍼가 달려있는가? (등산용 배낭은 이런방식이 장단점이 있다고 하는데 나는 여행용이니깐..)
11. 배낭 바깥에 그물망이나 주머니들
12. 눈에 안뛰는 배낭, 화려한 배낭커버
13. 배낭무게

등등이 고려사항이 되겠다 하시겠다.

우선 백화점에 입점한 등산용품 매장에서 한번 매보고 나의 토르소사이즈와 배낭용량을 결정하고 어떤 모양과 방식의 배낭이 편한지도 확인한 후 인터넷에서 구입하기로 하였다. 

며칠간 이래저래 후보는 가려낸 결과 두가지 정도로 좁혀졌었는데 IKCRAFT의 WARRIOR이란 모델과 킬리의 인테그랄50이란 모델이었다.

워리어라는 마음에 들긴한데 색이 검은색이아니라 모래색이라고 해야하나? 그 색말고는 다른게 없고 괜히 택티컬 배낭을 매서 풋풋한 전역자 포스를 풍기기보단 흔히 말하는 보급품보다 좋은면 더 좋았을 싸제 물건을 사는게 낫다고 생각하고 킬리로 거의 마음이 기울어지는데.. 킬리는 여행을 직접 다니면서 느꼈던 점을 배낭에 반영해 제조하는 회사라고 하던데 사소한 부분 하나하나에 여행자를 위한 공간을 만들어 놓은 아이디어가 돋보였다. 하지만 너무 많은 공간을 만들어 놓다보니 오히려 헷갈리거나 정말 그 부분이 여행을 할때 확실히 도움이 될만한 부분일까? 딱히 그렇게 편한게 아니라면 쓸떼없이 공간을 차지하는 부분을 없에서 수납을 많이 할수있게 하면 좋겠는데, 그리고 원단의 정확한 정보가 없어서(적어놓는다 해도 잘 알지도 못할테지만..)이게 얼마나 튼튼할지도 의문이간하다. 킬리가 큰 회사가 아니라서 그런지 배낭을 조금만 만들어 다 팔리면 더이상 제조를 안하고 그 제품의 다음 버전을 내놓는다고 라는데. 택티컬 배낭과 마찬가지로 가난한 나에게 가격이 조금 많이 비싼감이 있지만 중고나라에서조차도 네고없이 싸게 물건이 안나오는데도 금방금방 팔려서 하나도 없는걸 보면 정말 물건이 좋나 싶기도 하다.

두 회사가 그렇게 인지도가 있는 회사들도 아니고 정보도, 사용기도 많이 없을 뿐더러 킬리의 경우에는 너무 광고냄새가 풍기는 사용후기들만 보여서 많이 고민을 하였다. 배낭에 대해 많이 아는게 없는데 자세하지않은 상품설명들과 사진을 보고 사기에는 너무 위험이 커서 그냥 예전부터 검증된 오스프리나 도이터로 갈까라는 생각도 들긴했지만 "그 제대로된 사용후기를 내가 만들면 되지!" 하는 근거없는 무한한 신뢰와 자신감으로 그냥 질러버렸다. ㅋㅋ

'Overseas > (14年) Latin America'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TA를 신청하자  (0) 2014.05.22
국제학생증을 발급받자  (0) 2014.05.12
황열병 예방접종을 맞자  (0) 2014.05.12

아직 항공권도 예매하지못한 상태이지만 대체로 내가 가려는 비행편과 조건들이 유나이티드항공과 에어캐나다 쪽에 많이 있는지라 혹시나 모를 미국에서의 환승을 위해 발급을 받기로 했다..

미국의 비자 면제 프로그램 VWP로 인해 비자없이 90일 동안 관광, 상용의 목적으로 미국에 갈 수 가 있고 유효기간은 2년이란다.

준비물
1. 전자여권
2. 수수료 14달러(신용카드만 가능하다)

우선 ESTA 웹사이트로 GOGO (https://esta.cbp.dhs.gov/esta/)

엉어다!! 영어!!

저게 뭔말인겨.. 맨위에 "한국어" 를 눌러주자..

밑으로 내려가서 "신청" 을 누른다.

법적고지라는데.. 한번 죽 훝어 주시고 동의한다라고 선택을 한 후 다음

여행진흥법안? 요것도 전과 동일하게 동의후 다음~

여기서는 여권에 있는 정확한 정보를 기입을 하면 되는데 필수가 아닌 항목들도 있으니 한번 확인하여서 안적어도 무방하다.
태어난국가, 국적, 거주국가등등 도대체 뭘적으란건지 모르겠으면 옆의 물음표를 눌러서 확인을 해서 작성을 해도 되겠지만 한국사람이면 그냥 "South Korea", 전화번호 국가코드는 "Korea(South) +82" 를 선택하여 주자

더 밑으로 내려가면 질문과 "예"와 "아니요"로 선택지가 주어지는데 정상인이라면 그냥 "아니요"로 통일시키자 대부분 마약, 약물, 범죄에 관련된 것들이다. 완료가 되었으면 다음으로 넘어가자

몇몇칸은 내용을 지운거지만 내가 적었던 내용들을 확인 할 수 있고 밑으로 내려가 한번더 여권번호와 이름, 국가를 설정해 주고 신청서를 제출한다.

권리포기각서에 동의를 한다음 "지불하기" 로 들어가자
발급 수수료는 14달러이며 해외결제가 가능한 카드로만 결제가 가능하다. 결제창에서도 영어로 작성을 해야하는데 영문변환을 서비스해주는 사이트를 찾아가서 하면 편리하다. 나는 우체국을 이용하였다.

끝.
승인 대기를 거치지않고 바로 허가되어서 기분이 좋다. 혹시모르니 신청서도 한장 출력해두고.. 

이런 쪽으로는 보기만 해도 괜시리 머리가 아파지고 어려울거 같았는데 의외로 굉장히 이상할 정도로 쉬워서 이상했다. 정말 쉽다 ㅋㅋㅋ 괜히 걱정한듯 

'Overseas > (14年) Latin Americ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낭을 구매하자  (0) 2014.06.03
국제학생증을 발급받자  (0) 2014.05.12
황열병 예방접종을 맞자  (0) 2014.05.12

ISIC(International Student Identity Card) 라고도 하는 국제학생증..

내가 발급받은 국제학생증!

인터넷에서 남미여행과 관련된 자료수집을 하다가 우연히 발견한것인데 나만 이걸 모르고 살았는건지는 몰라도 이걸로 받을수 있는 할인과 혜택이 어마어마하다는걸 깨닫고는 만들수 있으면 무조건 만들어야겠다고 결심하고 바로 실행에 옮김. 간만에 도움이 될만한 물건을 찾은거 같아서 기분이 좋다.

이것(ISIC) 말고도 국제청소년증(IYTC)과 국제교사증(ITIC)도 있으니 홈페이지에 들어가 신청조건을 확인하고 해당이되면 발급을 받는게 좋을거 같다. 

국제 학생증은..

1. 만 12세 이상이 되면 발급을 받을 수 있고 

2. 정부기관이 인정하는 교육기관(중/고등학교, 대학, 대학권 등)에 재학, 휴학중인 학생들이거나

3. 해외 교육기관의 승인을 받은 유학 연수생

등이 발급 대상이다. 이미 학교를 졸업하거나 수료를 했다면 발급이 불가하다니 참고할것.

발급비용은 14000원, 유료기간은 발급월로부터 13개월간 유효하다고 한다(그냥 1년이라고 보면 된다.)

카드종류로는 일반형 ISIC와 체크카드형 ISIC가 있는데 금융기능이 불가능한 일반형으로 발급을 받고자 하면 발급을 받을때 미리 말을 해줘야 한다. 

체크카드가 되는 ISIC중에서도 유스호스텔회원증까지 겸용이 되는 카드도있다. 한국유스호스텔연맹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혜택이나 발급조건등을 확인해 보니 정말 싸고(국제학생증+외환 윙고 체크카드+유스호스텔증=25000원 인데 비해 그냥 유스호스텔증만 발급을 받으려면 1년에 21000원을 내야한다 그것도 나이에 따라 유효기간에 따라 가격이 달라진다) 좋은 물건인거같다. 굳이 돈을 더 주고 따로 유스호스텔증을 만들지 않아도 되고 일석이조지.

유스호스텔증의 유효기간도 국제 학생증과같이 1년인지는 한번 물어봐야 알거 같다. 나도 원래는 그걸로 하려고 했는데 유스호스텔이 잘 발달되어있는 유럽등의 선진국에나 갈때면 정말 필요하기도 할법한데 나는 그러지 못한 곳으로 다닐꺼고 그리고 이 카드의 유효기간내에 그런 환경이 잘 되어있는곳으로 갈 계획이 아직은 없기때문에 그냥 일반체크카드형으로 발급을 받았다. 

나의 경우에는 황열병 예방접종을 받는 검역소 부근에 외환은행출장소가 있어서 겸사겸사 발급을 받을 수가 있어서 따로 한번 더 찾아가는 수고와 시간을 절약할 수가 있었다.

발급받기전 주의해야할 사항은 미리 인터넷으로 발급 신청을 한 다음 은행이나 기타 발급기관에 가서 발급을 받아야 한다는 점이고 유스호스텔증이 추가된 국제학생증은 당일날 바로 발급은 안되고 일주일 가량 기다려서 우편으로 수령받아야 한다고 한다.

준비해야할 사항으로는 수수료와 신분증(민증이나 운전면허증), 재학(휴학)증명서 또는 학생증을 가져가야하며 재학(휴학)증명서는 발급받은지 한달이 지나면 안된다고 한다.

발급을 받으러 가면 은행에서 일반 계좌를 개설하는 것과 같은데 그냥 거기에 전화로 내가 국제학생증을 신청을 했는지 확인을 하는 절차만 더 붙어있다고 생각하면 될거 같다.

발급을 받는데 의문사항이나 문의사항은..

ISIC(http://www.isic.co.kr, 02-733-9393) 

한국유스호스텔연맹(http://www.kyha.or.kr, 02-725-3031)

기타 발급이 가능한 지점등에서 문의를 하면 편할듯 싶다.

정말 멀다.. 하지만 여행을 가서 장거리버스를 타면 이정도 거리는 옆집 영희네로 놀러가는 수준으로 느껴지겠지 ㅋㅋ  빨리 이런 기다림에 익숙해 져야 할텐데..

'Overseas > (14年) Latin Americ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낭을 구매하자  (0) 2014.06.03
ESTA를 신청하자  (0) 2014.05.22
황열병 예방접종을 맞자  (0) 2014.05.12

이 황열병 예방접종을 남미 현지에서는 무료로 맞거나 거저주는 가격에 맞을수 있는 방법이 있다곤 했으나 가끔 이게 공식적인 기관에서 받은 백신이 아니라며 인정을 안해줄수 있다 카더라.. 라는 글도 본적이 있고 무엇보다 이 예방접종을 맞으면 3일이나 5일 후에 감기몸살같은 증상에 고생을 좀 할수도 있다고 해서 한국에서 맞아가야겠다고 생각했다. 신나게 돌아다녀야 할 시간에 끙끙거리면서 앓고 있으면 안되잖아!

황열병 예방접종은 보통 병원에서 함부로 주는게 아니라길래 부산까지 내려가서 맞아야하나 싶었지만 다행히도 울산에도 검역소가 있다.

http://nqs.cdc.go.kr/nqs/ulsan/index.jsp (국립울산검역소 홈페이지)

검역과 052-255-4051, 서무과 052-255-4502, 예방접종실 052-255-4053

나는 예방접종을 받는 당일날 전화를 달라고 해서 해주고 갔는데 상관은 없는 듯 하다.

아직까지 한창 건설중인 울산대교.. 울산해양항만청은 요쯤에 있다

해양항만청안으로 쭉들어가면 전광판이 있는 비교적 새건물이 바로 우리의 목적지 검역소다

장생포 고래박물관에서 도보로 3분정도 떨어진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울산해양항만청 내에 있다. 지도로 찾아보니 바로 옆집이 해양경찰서다. 찾아오기는 쉬울듯 한데 버스편이 너무 없고 오래걸린다. 웬만하면 자가용을 이용하는게 좋을거 같다. 동구에 사는 사람들은 울산대교가 개통되면 정말 편하게 올듯

검역소건물로 들어서면 1층에 검역과 사무실이 있는데 거기로 들어가 접종을 하면 된다.

예방접종 수수료로는 27000원 (접종료 26000원, 증명서 발급 1000원, 현금으로만 결제된다) 이며 원래는 근처의 우체국에서 정부인지를 구입해서 가야하지만 한 1km쯤 떨어져 있어서 그냥 바로 검역과에서 일하시는 분께 드리면 된다.

준비물 리스트에서 여권이나 여권사본을 챙겨오라고 하는데 이게 여권에서의 영문 이름과 접종카드의 영문이름이 스펠링하나, 띄어쓰기하나까지 꼬투리가 잡힐수 있으므로 정확하게 적기 위함이라고 하니 꼭 챙기자(모두가 그런건 아니겠지만 혹시나 이상한 사람들을 만났을시 국경에서 지체되는 시간도 시간이지만 아무리 작은 돈이라도 삥을 뜯기면 괜시리 기분이 나빠지기때문에) 여권발급전이라면 미리 양해를 구하고 가도 상관이 없었다. 이름칸만 비워서 나중에 발급받으면 알아서 적으라고 한다. 글자체가 다르다고 꼬투리를 잡지는 않는듯 ㅋㅋㅋ

그 후 몇가지 서류를 작성한 뒤 바로 접종을 받고 집으로 가면 끝!

그렇게 해서 발급받은 옐로카드 ㅇㅅㅇ)/ 

군복무를 할 당시 상병신체검사를 받으러 해군포항병원으로 갔다가 미숙한 의무병이 나의 팔을 주사기로 난도질을 하고 결국 신경까지 건드려 며칠간 고생한 안좋은 추억이 있던나에게 이건 아프지가 않아서 오히려 더 깜짝 놀랬다 느낌이 없었다고나할까?

아! 그리고 접종을 받기전 주의해야할 사항이 있다

계란 알르레기가 있는 사람은 접종이 불가할 수도 있고, 접종후 10일 후쯤이 되야 항체가 생성되니 출국하기 10일 전 접종을 받는게 좋다고 한다. 어짜피 한번 맞으면 10년이나 가는데 좀더 일찍 맞아도 되겠지

검역소 내부는 꽤나 한산했다. 거기서 일하시는 분도 말을 자꾸 걸어주셔서 시간가는줄도 모를 정도였으니ㅋㅋ 의도치 않게 쓸떼없다면 쓸떼없고 좋다면 좋을 정보를 몇가지 얻었는데 

접종확인증인 옐로카드는 재발급이 가능하며 재발급시 1000원을 더 내야한다 국내에서 검역소가 있는 모든 곳에서 재발급이 가능하며 해외에서는 재발급이 안된다고 한다. 굳이 도난이 우려되면 스캔이나 사진을 찍어 보여주면 유도리가 있는 사람들이면 그 사진의 백신을 제조할때 새긴 로트번호로 검색을 하거나 그냥 훝어보고 보내준단다.

백신은 프랑스에서만 만드는데 외국에서 특히 유럽같은 경우에는 백신의 값이 어마어마하다고 한다 가격이 7만원에서 9만원 사이에서 접종을 받는다고.. 그에 비하면 왜인지는 몰라도(세금으로 해서 그런가?) 한국은 더럽게 가격이 싼편이라서 이걸 맞으러 일부러 외국인들이 온다고도 한다 실제로 울산에서 영어강사하시는 분들도 친구들 데리고 많이 온다고도 한다. ㅋㅋ

가끔 블로그에서 옐로카드를 따로 챙거던데 옐로카드는 국제적으로 색깔만 노란색으로 지정했지 크기는 제멋대로라고 한국꺼는 여권크기와 동일한 사이즈로 제작이 되어서 여권커버에 끼우고 다니면 편하다. 

이 여권과 옐로카드를..

요래요래 끼워주면.. 참 쉽죠?

부산에서 접종을 할수도 있지만 굳이 부산에서 살거나 울산보다 부산이 더 가까운 사람들이 아닌 경우에는 울산으로 와서 맞아라고 추천하고 싶다. 이유로는

1. 부산검역소에서는 담당의사가 있는데 상담도 하고 혈압도 재고 이것저것 검사를 해서 조건이 안되면 접종이 불가하다고 할수도 있다고 한다. 하지만 울산은 그런이상한 것들이 없다 ㅋ

2. 사람이 없어서 기다리지않고 바로 맞을수 있다.(그때그때 다르겠지만 부산보단 없겠지..)

3. 접종후 30분을 대기하지않고 바로 집으로 갈 수 있다.

여행도 많이 다녀보지 못해 경험도 요령도 부족한 나이지만 그래도 이런 글이 남미여행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Overseas > (14年) Latin Americ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낭을 구매하자  (0) 2014.06.03
ESTA를 신청하자  (0) 2014.05.22
국제학생증을 발급받자  (0) 2014.05.12

+ Recent posts